프로젝트 소개
publ Design System 소개
목적
이용자에게 publ 서비스를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기능이나 목적의 유형에 맞춘 일관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publ팀에는 제품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화면 구성의 기획, 시각적인 표현, 최종 산출물까지 이어질 수 있는 품질 관리를 달성하기 위함
목표 및 결과물
내부 활용 대상, 디자인 컴포넌트와 코드 산출물을 같이 맞추어 기획 목적에 맞게 화면을 조합할 수 있는 가이드 만들기
3rd-Party 개발사 등, 외부에 공유 가능한 library와 코드스니펫, 기획 목적, 디자인 철학이 조합된 documentation 만들기
레퍼런스
Google https://material.io/components/ (components 탭은 디자인 및 기획 원칙과, 코드 예제가 같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MS https://developer.microsoft.com/en-us/fluentui#/controls/web (Controls 탭이 위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Twitter https://getbootstrap.com/docs/5.0/getting-started/introduction/
리디북스 : 필요한 수준을 규정하고 활용하고 있습니다. 많은 내용이 있진 않지만, 적어도 결정된 내용은 확실하게 활용할 수 있어 보입니다. https://ridi.design/
스포카 : 여기도 필요한 수준을 정리해둔 것 같습니다. https://bi.spoqa.com/
슬랙
https://publhq.slack.com/archives/C021A1ZUL2J
PDS? pDS? 🤔
publ은 소문자로 작성하기로 했으나, 축약시에는 예외적으로 대문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체 이름을 작성할 때에는 publ Design System으로, 축약시에는 PDS로 축약하시면 됩니다.
의사코드 사용
이 문서에는 의사 소통을 위해, pseudo-code를 적극적으로 사용합니다. 특정 문법을 지키지 않더라도, 더 명확하게 내용을 설명하기 위함입니다.
https://namu.wiki/w/%EC%9D%98%EC%82%AC%EC%BD%94%EB%93%9C
TF 문서
기여자
김혜진
김혜원
안은수
구기운
박윤규
문서 작성 정보
소유자 / 관리자 | 박윤규 |
---|---|
변경 이력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