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Skip table of contents

Web - 텍스트 사용 규칙

텍스트 사용 규칙

텍스트는 이용자에게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타이포그래피 원칙은 서비스에서 정보의 가독성을 높이고,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서체

아래의 표준 시스템 폰트를 사용합니다.

CODE
{"Pretendard JP", -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Basier Square", 
"Noto Sans KR", "Segoe UI", "Apple SD Gothic Neo", Roboto, 
"Helvetica Neue", Arial, sans-serif}

*제품에서는 Pretendard JP 폰트를 임베딩하여 사용합니다.

텍스트 구분

구분

Desktop Web

크기(px)

Mobile Web

크기(px)

굵기

행간

Display Heading

40

32

Bold

1.5em

Wizard Page Title

40

40

Bold

1.2em

Heading

24

24

Bold, Regular

1.5em

Lead Paragraph

20

20

Bold, Regular

1.5em

Subtitle

18

18

Bold, Regular

1.5em

Body1

18

18

Bold, Regular

1.5em

Body2

16

16

Bold, Regular

1.5em

Caption1

14

14

Bold, Regular

1.5em

Caption2

12

12

Bold, Regular

1.5em

Form1

16

16

Bold, Regular

1.6em

Form2

14

14

Bold, Regular

1.6em

Blog1

16

16

Bold, Regular

1.6em

singleLine

*반드시 한 줄로만 사용되는 위젯
(버튼 등)

-

-

-

1em

굵기

타이틀, 텍스트링크 등 강조가 필요한 부분에 Bold를 사용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Regular를 사용합니다.

Regular = 500, Bold = 700

행간

폰트 크기에 비례한 1.5em~1.6em 값을 사용합니다.

버튼과 같이 한 줄만 사용하는 경우엔 행간을 적용하지 않습니다.

자간

모든 폰트 크기에 동일하게 -0.03em 값을 적용합니다.

컬러

일반적으로 Grey Color를 사용합니다.

태그, 캡션, 오류 등 강조가 되어야 할 경우 부분적으로 Main Color 또는 Accent Color를 사용합니다.


(초안) 텍스트 사용 원칙

구분

Desktop

Mobile

Display Heading

40 > 44

화면 상 위계가 매우 높거나 비주얼 상 크게 돋보여야 할 때 부분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레이아웃의 WF 유형의 페이지 타이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때, 해당 스타일은 바로 사용하지 않고 Hero Component를 적용합니다.

32 > 36

-

Lead Paragraph

20 > 24

Display Heading 하위 설명 문구로 주로 사용합니다.

20 > 24

-

Heading

24 > 28

페이지 타이틀에 주로 사용합니다.

24 > 28

화면 타이틀에 주로 사용합니다.

Subtitle

18 > 22

섹션 타이틀에 주로 사용합니다.

  • 페이지 내 첫번 째 위계일 때 사용합니다.

18 > 22

섹션 타이틀에 주로 사용합니다.

  • 페이지 내 첫번 째 위계일 때 사용합니다.

AssistTitle

18

섹션 내 요소 그룹의 타이틀에 주로 사용합니다.

  • 두번 째 위계의 섹션일 때 사용합니다.

18

섹션 내 요소 그룹의 타이틀에 주로 사용합니다.

  • 두번 째 위계의 섹션일 때 사용합니다.

Body1

18

콘텐츠 본문에 주로 사용합니다.

18

콘텐츠 본문에 주로 사용합니다.

Body2

16

콘텐츠 본문에 주로 사용합니다.

그 중 목록 화면에서의 본문 내용을 보여주고 싶을 때 주로 사용합니다. (body2 사용 용례 좀 더 고민)

16

콘텐츠 본문에 주로 사용합니다.

그 중 목록 화면에서의 본문 내용을 보여주고 싶을 때 주로 사용합니다. (body2 사용 용례 좀 더 고민)

Description1

14??

설명이 필요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보조 설명 문구)

14??

설명이 필요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보조 설명 문구)

Caption1

14

정보성 문구를 제공하되 눈에 띄지 않아도 될 때 주로 사용합니다. (특수한 경우가 아니라면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장합니다.)

14

정보성 문구를 제공하되 눈에 띄지 않아도 될 때 주로 사용합니다. (특수한 경우가 아니라면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장합니다.)

Caption2

12

컴포넌트 수준에서 사용됨 (유효성 검증 문구)
따라서 화면 기획할 때 사용하지 말 것

12

컴포넌트 수준에서 사용됨 (유효성 검증 문구)
따라서 화면 기획할 때 사용하지 말 것

Form1

16 > 18

글 작성용 TextField인 BlogTextField에 사용합니다.

화면 기획할 때 사용하지 말 것

16 > 18

글 작성용 TextField인 BlogTextField에 사용합니다.

화면 기획할 때 사용하지 말 것

Form2

14 > 16

Textfield, EditApplyTextField, Select, Dropdown, ContextMenu에 사용합니다.

화면 기획할 때 사용하지 말 것

14 > 16

Textfield, EditApplyTextField, Select, Dropdown, ContextMenu에 사용합니다.

화면 기획할 때 사용하지 말 것

Blog1

16 > 18

게시글 본문에 사용합니다. (현재 타임라인만) → ???

화면 기획할 때 사용하지 말 것

16 > 18

게시글 본문에 사용합니다. (현재 타임라인만) → ???

화면 기획할 때 사용하지 말 것


문서 작성 정보

소유자 / 관리자

김혜진

변경 이력

  • 2023/01/17 : Wizard Page Title 추가 - 김혜진

  • 2022/09/22 : 텍스트 위계 재점검에 따른 종류 추가 및 사용원칙에 대한 초안 문서 작성 - 김혜진

  • 2022/08/19 : 폰트 변경사항 반영 - 박윤규

  • 2021/11/24 : 자간에 대한 내용 추가 - 김혜진

  • 2021/11/09 : Web 통합 (Desktop, Mobile) - 김혜진

  • 2021/10/26 : caption~body 텍스트 사이즈 조정 및 form, blog 텍스트 추가 - 김혜진

  • 2021/08/28 : 목적 및 방향 검토 완료 - 박윤규

  • 2021/08/27 : 타이포 목적 추가 - 김혜원

  • 2021/08/13 : 문서 작성방식 변경 - 박윤규

  • 2021/05/26 : 타이포 정리(제플린 기준) - 김혜진

JavaScript errors detected

Please note, these errors can depend on your browser setup.

If this problem persists, please contact our support.